1. 철근 콘크리트
철근 콘크리트는 Reinforced concrete, RC라고도 불리며 합성교의 주요 기술 중 하나다.
Joseph Monier은 프랑스의 정원가이자 철근 콘크리트의 주요 발명가들 중 한 명이다. 주요 발명가가 여러 명인 이유는 Monier가 철근 콘크리트를 첫 번째로 특허를 내긴 했으나 처음으로 실험한 사람은 아니기 때문이다.

정원사였던 Monier는 화분을 만들면서 쉽게 부서지는 점토라는 재료에 대해 불만을 가지기 시작했다. 그래서 콘크리트 용기에 매립형 철망을 넣어 실험하였다. 그리고 1867년 7월 16일에 철근 콘크리트를 사용한 원예용 통을 특허로 제출하였다.
1885년, Monier에게 특허를 매입한 Gustav Adolf Wayss가 철근 콘크리트를 건설 재료로 사용하기 위해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하면서 건설 재료로 발전하였다.
2. PC(Pre-stressed Concrete)

PC는 PSC라고도 불리며, 현재 합성교의 주요 기술 중 하나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런 PC의 등장은 위의 그림처럼 철근 콘크리트와 고강도 콘크리트 및 강재의 발전으로 개발될 수 있었다. 그래서 철근 콘크리트 다음에 PC가 개발된 것이다.
샌프란시스코의 엔지니어였던 P.H.Jackson은 동생의 회사에서 연구하다가 1888년에 PC의 원리를 처음으로 개발하여 특허를 냈다.
그러나 초기의 특허 아이디어는 고강도 기술로 사용되지 못하였다.
그러다가 여러 건물 및 교량에 사용하게 되면서 점점 현재의 고강도 PC 기술로 발전하게 되었다.
3. 최초의 합성교 - 슈 베르테 교량
앞서 설명한 철근 콘크리트와 PC 재료가 개발된 덕분에 합성교가 개발될 수 있었다.
1940년대 후반에 독일에서 세계 최초의 합성교인 슈 베르테 교량을 건설하였다. 이 교량은 1946년에 건설되었으며 철근 콘크리트 합성교다.
4. 두 번째 합성교 – 간자키 교량
합성교의 장점을 알아본 일본에서 두번째로 1953년 오사카시에 간자키교를 가설하였다. 일본 최초의 합성교이다. 간자키교는 일본 최대 규모의 합성교이다. 오사카시에서 아마 가사키시를 잇는 교량이다.
그 뒤로 일본에서 다수의 합성교가 가설되면서 점점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5. 합성교의 발전
현재 합성교는 다양한 공법, 재료로 개발되어지고 있다. GFRP(유리섬유강화폴리머)와 같은 발전된 복합소재 등 합성교는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6. 참고문헌
백남욱, 이상진, 철도관련큰사전, 골든벨, 2007.04.20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794080&cid=50320&categoryId=50320
T. Y. Lin & Ned H. Burns, Design of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s (3rd Edition), Lin, TY Burns, Ned H, 1981
https://krex.k-state.edu/dspace/handle/2097/1439
Day, Lance, Biographical Dictionary of the History of Technology, Routledge, 2003, p.284
https://structurae.net/en/structures/schwerte-bridge-1946
http://m.e-patentnews.com/4749
이종득, 「합성구조와 복합교량」, 도서출판 일광, 2002.06.15, p.99
'토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멘토 1주차 과제] TNB(말레이시아 전력청) 개요/사업/실적/전망 (0) | 2022.01.12 |
---|---|
[항만계획및설계] 항만시설 종류 - 1. 기본시설 (0) | 2021.09.20 |
[항만계획및설계] 항만 대상선박의 주요치수 (0) | 2021.09.11 |
[토목기사 - 응용역학] JSK법 (0) | 2021.07.07 |
[수리수문학] 세굴심 계산 방법 및 공식 (0) | 2021.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