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목

[코멘토 2차 과제] 말레이시아 부미푸트라 정책 개요/대처방안

본 게시물은 코멘토 2차 과제 내용입니다. 목차는 과제 템플릿입니다.

2차 과제 [건설 현장 조직도] 보기 >>> https://civilenveng.tistory.com/14

 

[코멘토 2차 과제] 건설 현장 조직도/역할

본 게시물은 코멘트 2주차 과제 내용입니다. 목차는 과제 템플릿 내용입니다. 2차 과제 [부미푸트라 정책] 및 ppt 파일 보기>>> https://civilenveng.tistory.com/15 [코멘토 2차 과제] 말레이시아 부미푸트라

civilenveng.tistory.com

 

1. 부미푸트라 정책 개요

말레이시아는 중국계가 약 20%를 차지하고 인도계가 약 7%를 차지한다. 그래서 다문화 국가였던 말레이시아는 이슬람 국가인데도 불구하고 종교 및 타문화의 자유를 인정해왔다. 그러나 중국계가 상공업, 인도계가 교통운수업으로 경제권을 장악하자 주로 공무원과 정치인을 하며 정치권을 장악하던 말레이계 사람들은 말레이계(부미푸트라)의 우대 정책을 1971년에 도입하여 지금까지 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외국인과 이민인, 외국 건설 기업이 받을 수 있는 애로 사항은 아래와 같다.

1) 말레이시아 대학교 : 국립 대학 정원 70~80%는 말레이계 할당, 등록금 지원 우대
2) 자가 및 자차 : 주택, 자차 구입 시 말레이계 할당 및 할인
3) 노동 : 말레이계 우대, 고용 시 내국인 우대
4) 외국 기업 : 발주 시 부미푸트라 기업 구매 확대 (현재 70% 이상 차지)
5) 프로젝트 입찰 : 입찰 프로젝트 40~50% 말레이계 기업 전용 입찰, 외국 기업이 입찰하고자 할 경우 프로젝트 건 별로 임시 건설 면허 취득 필요
6) 건설 면허 : 현지 업체는 상시 건설 면허 취득 가능하나 외국 기업의 상시 건설 면허 취득 시 합작회사 등록 및 말레이계 지분 70% 이상 필요, 대규모 공사가 가능한 면허 취득 시 합작 회시 필요

 

2. 부미푸트라 정책 대처방안

1) 합작회사 설립 : 공사 규모에 제한이 없는 건설 면허인 G7을 취득하려면 합작회사가 필요하다. 따라서 말레이시아 지분을 70% 이상으로 하는 합작회사를 건립한다.
2) 기술 우위 요소 홍보 : 국내 건설 기업은 주로 가격 경쟁력은 낮으나 품질, 엔지니어링 능력, 건설 능력 등의 기술이 우위에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입찰 시 어필하여야 한다.
3) 금융조달능력 향상 : 말레이시아 입찰 프로젝트는 주로 민간협력(PPP) 사업이므로 금융조달능력(기업의 재정 상태 및 수입 등을 고려하여 자금을 필요한 때에 조달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민간 업체가 억대의 공사기금을 사용해야하기 때문이다. 만약 여유가 없다면 세계 5대 개발금융기구에게 자금을 제공받아 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4) 현지 업체 제휴 : 합작 회사가 불가능할 경우 현지의 유력 업체와 제휴를 전랴적으로 맺는 것도 좋다. 제휴를 맺으면 그만큼 말레이계 전용 입찰에서 유리해질 것으로 보인다.

 

3. 참고문헌

https://m.blog.naver.com/mofakr/221594495586

 

말레이계 우대정책, 부미푸트라 알아보기

모파랑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Friends of MOFA 14기 이다솔입니다. 오늘은 말레이시아에 대해 좀 ...

blog.naver.com

https://namu.wiki/w/%EB%B6%80%EB%AF%B8%ED%91%B8%ED%8A%B8%EB%9D%BC%20%EC%A0%95%EC%B1%85

http://snuac.snu.ac.kr/seacenter/?p=2006 

 

[KOTRA] 페트로나스 납품을 위해서 왜 부미푸트라 기업과의 협력이 필요한가 | 동남아시아센터

페트로나스 납품을 위해서 왜 부미푸트라 기업과의 협력이 필요한가 – 페트로나스 구매 및 발주의 70% 이상을 부미푸트라 기업이 차지 – – 부미푸트라 기업으로부터 구매확대는 더욱 확대될

snuac.snu.ac.kr

https://m.dnews.co.kr/m_home/view.jsp?idxno=201602101726455200275 

 

<글로벌줌인>말레이시아 건설시장에 주목하자!

 저유가 상황의 지속으로 석유화학, 전력, 철도 등 주요 인프라 프로젝트 발주가 지연되거나 축소되면서 말레이시아의 건설시장 성장률은 다소 주춤하고 있다. 그럼에도 말레이시아 정부는

www.dnews.co.kr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1503100917188250043 

 

해외 수주 키워드는 자금조달 능력

 

www.dnews.co.kr

 

4. 코멘토 과제

코멘토 2차 과제.pptx
0.05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