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GIS

[ArcGIS/CLUE-s] CLUE-s 모형 모의 방법

winnychoi 2021. 7. 10. 00:36

 1. CLUE-s 입력자료 가공

‘CLUE convert’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Driving Factor와 토지이용도의 상관성을 분석한다. ArcGIS프로그램의 ‘Raster to Ascii‘로 격자 자료를 Ascii 자료 형식으로 변환한다. ‘Input Raster’tif 형식 자료를 넣는다. ‘Output’에 텍스트 기반의 asc 형식 출력해야 한다. 특히 Ascii 파일 형식은 텍스트(TXT)파일 형식 격자 자료보다 용량이 크며 가공이 쉬운 편이므로 분석할 때 주로 사용한다.

그리고 asc 형식 파일을 fil 형식 파일로 변환한다. 그 후, ArcGIS프로그램의 ‘Raster Calculator’에서 명령문을 사용하여 특정 코드만 추출한다. 이때 사용했던 Function은 다음과 같다.

con(”reclass.tif“=100,1,0)

‘Con’if문의 형식이다. 재분류한 자료의 Urban 코드인 1001, 나머지는 0으로 분류한 후, Output 파일은 ‘temp’ 파일에 저장하라는 의미인 명령문이다.

마지막으로, ‘names.txt’라는 텍스트 파일에 입력할 asc(LandUse) fil(Driving Factor)형식의 자료를 입력한 후, ‘CLUEConvert.exe’라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stat.txt’라는 파일에 한 토지이용도와 여러 개의 Driving Factor의 상관성을 분석한 행렬 자료를 출력한다. 전체 토지이용도 별로 반복하여 실행해야 한다.

 

2. CLUE-s 입력자료

CLUE-s 모형을 모의하는데 필요한 입력자료는 다음과 같다.

  • ‘allow.reg’: 사용자가 정의한 토지이용도 번호, 상수항, Driving Factor 자료(fil) 개수, 회귀계수, 회귀계수 해당 번호 순서대로 입력된 자료

  •  ‘allow.txt’: 토지이용도마다 미래에 바뀔 수 있는 토지이용도면 1, 아니면 0을 입력한 자료

  •  ‘main.1’: 첫 번째 줄=토지피복도 최대개수, 세 번째 줄=회귀계수 최대개수, 네 번째 줄=Driving Factor 개수, 5,6번째 줄=행렬 개수, 7번째 줄=한 셀의 면적(단위:ha), 8,9번째 줄=격자 시작점(속성-Left, Bottom 좌표), 13번째 줄=기준이 되는 년도 등을 입력한 자료

  •  ‘demand.in1’: 연도 별 면적 결과(단위:ha)를 입력한 자료, 면적은 아래 식과 같이 엑셀에 입력하여 계산한다.

Area= (value(cell size)^2)/2

  •  ‘region_park.asc’ & ‘region_nopark.asc’: 생태분류등급 중 미래에 국립공원, 산림, 수역 등은 변하지 않으므로 입력해야 함. 그 지역을 –9998, 나머지는 0으로 입력한 자료 및 모든 지역을 0으로 입력한 자료

  •  ‘cov_all.0’: 기준이 되는 년도의 토지이용도 별 Driving Factor 상관성 분석한 자료

 

3. CLUE-s 모형 모의

입력자료 중 ‘Area’region_park.asc region_nopark.asc 자료를 넣고 ‘demand scenario’demand.in1 자료를 넣어 Run을 클릭하여 모의하여 미래의 토지이용도 변화를 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