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만계획및설계] 항만시설 종류 - 1. 기본시설
본 게시글은 양정아 교수님의 항만계획 및 설계 수업 요약본입니다.
1. 항만시설의 종류
1. 기본시설
2. 기능시설
3. 지원시설
4. 항만친수시설
2. 기본시설의 종류
1. 수역시설: 선박이 항행 또는 정박하는 항만 구역 내의 시설
ⓐ 항로(Fairway): 선박이 지나다니는 해로
-양호한 항로 조건
1) 법선이 직선에 가깝다.
2) 항로의 측면과 해지면 형상, 항주파 등이 고려된 폭이 넓고 수심이 충분하다.
3) 바람, 조류, 파고 등 기상 및 해상조건이 양호하다.
4) 항로표지, 신호설비 등이 잘 정비되어 있다.
-계획 시 검토사항
입출항 선박의 항적(전문가 의견 등) 검토, 항로표지의 정비 상황, 항행관제의 시행사항, 항로의 분리 여부, 인접한
박지와의 거리, 항입구의 진입각도, 끌배 사용 유무 등
ⓑ 박지: 배가 안전하게 머물 수 있는 해안지역
-양호한 박지 조건
1) 정온하고 충분한 수면적
2) 닻이 걸리기에 적합한 해저지질
3) 부표의 정비
4) 바람, 조류 등의 양호한 기상 및 해상조건
-계획 시 검토사항
안전한 정박, 하역의 효율성, 기상 및 해상조건, 항내 반사파, 항주파 등의 영향, 기타 관련시설과의 이용성 등
ⓒ 선회장(Turning Basin): 배를 둘러세울 수 있게 만든 수역
-규모 설정 시 검토사항
선회의 형태, 선박의 선회 성능, 계류시설, 항로의 배치, 기상 및 해상조건 등
-스스로 회전이 가능하다면 넓은 박지가 필요하다. 그러나 스스로 회전이 불가능하다면 끌배를 사용해야 한다.
ⓓ 선류장(Basin For Small Crafts): 어선 등의 소형선박 및 무선이 정박하는 수역, 바지언이라고도 부른다.
-계획 시 고려사항
소형 선박의 안전한 계류, 조선의 용이, 기상 및 해상조건, 관련시설과의 연관성 등